TIL 25

week2 도커엔진

도커 컴포넌트 도커는 여러 컴포넌트로 구성. 그중 코어 역할이 도커 엔진 도커 엔진이 주축이 되어 도커 레지스트리, 도커 컴포즈, 도커 머신, 도커 쏘엄(쿠버네티스가 더 유명) 등이 있음. 우분투 서버가 설치된 인스턴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SSH(Secure Shell), 보안셀 사용해야 함. 우리가 사용할 환경이 가상 환경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SSH 사용. 컨테이너에는 두가지가 있다. 대화형 : 내가 컨테이너에서 어떤 일이 있는지 확인 가능 백그라운드 형: 백그라운드에서 작동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는 없음 도커 명령어 대화형 컨테이너 sudo docker container run -i -t --name centos centos:latest run: create + start i: interactive ..

TIL 2021.08.19

도커 기초 week 1

1. 도커는 oo다 많은 서버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할 것인가 Virtual Machine -> 설치 쉬움, 속도 느림, OS를 개별적으로 구동해야 함, 지속가능하다고 보기 어렵다 Docker -> 의존성 문제 해결, 하나의 시스템을 다른 곳으로 옮기기 쉬워짐 2. 클라우드와 마이그레이션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 1. 자체 서버 운영(온프레미스) 서비스를 구성하는 모든 영역을 직접 관리. 서비스가 대규모로 성장하면 부담이 된다 2.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ex. AWS IaaS - 가상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킹을 클라우드 회사에서 관리( ex.AWS EC2) Paas - 런타임, 미들웨어, 운영체제도 클라우드 회사에서 관리(Elastic beans) SaaS -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도 클라우듸 회사에서..

TIL 2021.08.11

Polling vs SSE vs WebSocket

서버에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보낼 때 두가지 접근 방식이 있음 1. client pull - client가 server에게 일정한 간격으로 업데이트를 요청 2. server push - server가 client에게 proactive하게 업데이트를 push. 적용된 예시 - Long/short polling (client pull) - WebSopckets (server push) - Server-Sent Events (server push) Polling Polling은 client가 server에게 정기적으로 새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 두가지 방식으로 polling 할 수 있음 - Short polling AJAX-based timer. 고정된 딜레이를 call. - Long polling bas..

TIL 2020.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