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3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 2. 네트워크-1

요즘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라는 책으로 스터디를 하면서 내용 정리를 하고 있는데 면접 보기 전이나 기본적인 CS 공부의 흐름을 잡을 때 보기 좋은 것 같다!(내돈내산임) 그래서 우선 한번 읽고 -> 이 내용 기반으로 내가 심화 내용을 찾아서 공부하고 -> 언젠가 면접이 있으면 다시 책을 읽어보는 식으로 보려고 한다.(아직 이직 생각은 없어서 면접은 아마 먼 훗날...) 물론 이 책 한권으로 깊이있는 CS 지식까지 완전 정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서 관계형 DB와 NoSQL DB의 차이는 무엇이고 각각 어떤 종류가 있나요? 라고 묻는 질문에는 책에 나온 내용으로 충분히 답변이 가능하지만 Django를 쓸 때 PostreSQL의 장점같은 더 나아간 질문이나 심화된 꼬리질문은 책을 기반으..

TIL 2022.08.21

[파이썬 코딩의 기술] 2. 리스트와 딕셔너리(2-1)

읽은 범위 2장 리스트와 딕셔너리 목차 시퀀스를 슬라이싱하는 방법을 익혀라 스트라이드와 슬라이스를 한 식에 함께 사용하지 말라 슬라이싱보다는 나머지를 모두 잡아내는 언패킹을 사용하라 복잡한 기준을 사용해 정렬할 때는 key 파라미터를 사용하라 딕셔너리 삽입 순서에 의존할 때는 조심하라 in을 사용하고 딕셔너리 키가 없을 때 KeyError를 처리하기보다는 get을 사용하라 내부상태에서 원소가 없는 경우를 처리할 때는 setdefault보다 defaultdict를 사용하라 '__missing__'을 사용해 키에 따라 다른 디폴트 값을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두라 11. 시퀀스를 슬라이싱하는 방법을 익혀라 슬라이싱은 범위를 넘어가는 시작 인덱스나 끝 인덱스도 허용한다. 따라서 시퀀스의 시작이나 끝에서 길이를 제..

개발서적 2022.07.24

[파이썬 코딩의 기술] 1장 파이썬답게 생각하기(1-2편)

회사 동료분과 아직 다행히(?) 꾸준히 을 읽는 스터디 중이다. 아직 중간중간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많아서 최대한 회사 코드에서 비슷한 부분을 찾아보거나 구글링해서 예시를 보려고 하고 있다. 지금 당장 적용해보지는 못하더라도 일단 '이런 방법도 있다'는 것을 알아두는 것에 의의를 두려고 한다. 지난번에 이어서 1장의 뒷부분 내용을 정리한다. 읽은 범위 1장 파이썬답게 생각하기 목차 사용중인 파이썬의 버전을 알아두라 PEP 8 스타일 가이드를 따르라 bytes와 str의 차이를 알아두라 C스타일 형식 문자열을 str.format과 쓰기보다는 f-문자열을 통한 인터폴레이션을 사용하라 복잡한 식을 쓰는 대신 도우미 함수를 작성하라 인덱스를 사용하는 대신 대입을 사용해 데이터를 언패킹하라 range보다는 e..

개발서적 2022.07.10

[파이썬 코딩의 기술] 1장 파이썬답게 생각하기(1-1편)

회사 동료분과 소소한 스터디로 일주일에 한번씩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자고 해서 이라는 책을 선택했다. '파이썬답게' 코딩하는 방법이 궁금하기도 했고 책을 읽고 조금씩 회사 코드에 적용시켜보면 좋을 것 같았다. 낯선 영어 단어를 외워두고도 막상 실전에서 사용하려면 잘 기억이 안나는 것처럼 책을 읽으면서 과연 내가 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이 기술(?)들을 떠올릴 수 있을지 걱정이 되기도 했다. 그래도 우선은 이렇게 읽어두고 실전에서 써보려는 노력을 하는게 아무것도 하지 않는것보다는 훨씬 나을테니까 조금씩 열심히 읽어보는 중이다. 오늘은 1장 파이썬답게 생각하기 중에서 절반정도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읽은 범위 1장 파이썬답게 생각하기 목차 사용중인 파이썬의 버전을 알아두라 PEP 8 스타일 가이드를 따르라..

개발서적 2022.06.12

주니어 개발자의 이직 적응기

이직 성공! 작년 9월 다니고 있던 외국계 회사의 한국 오피스가 문을 닫게 되면서 퇴사를 했다. 자진 퇴사가 아니라서 6개월동안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기에 이 기회에 밀린 공부도 하고 휴식도 하면서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자 싶어서 처음 두달 정도는 적극적인 구직을 하지는 않았다. 종종 링크드인으로 먼저 연락이 오는 회사의 과제를 해보면서 역시 실력을 늘리려면 독학보다는 회사에서 일하는게 낫겠구나 싶어서 12월부터 조금 더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찾아보았다. 여러 회사의 다사다난한 채용 과정을 거치고 최종적으로 영어교육앱을 운영하는 회사에 입사하게 되었다. 보완해 나갈 점들 이직을 준비하면서 아래와 같은 점을 보완해야겠다고 생각했다. 1. 그때그때 내가 맡은 프로젝트를 정리하고 어려운 점, 했던 생각들, 해결 ..

근황토크 2022.05.15

[노마드코더 북클럽] 클린코드 9. 단위 테스트

오늘 TIL 3줄 요약 테스트 코드는 실제 코드 못지 않게 중요하다 테스트 당 개념 하나 F.I.R.S.T Fast, Independant, Repeatable, Self-validating, Timely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2. 03.06 오늘 읽은 범위 9장. 단위테스트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테스트 코드가 복잡할수록 실제 코드를 짜는 시간보다 테스트 케이스를 추가하는 시간이 더 걸리기 십상이다. 테스트 코드는 실제 코드 못지 않게 중요하다 깨끗한 테스트 코드를 만들려면? 세 가지가 필요하다. 가독성, 가독성, 가독성. 빠르게, 독립적으로, 반복가능하게, 자가검증하는, 적시에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테스트 코드가 중요한걸..

TIL 2022.03.06

[노마드코더 북클럽] 클린코드 7. 오류처리

오늘 읽은 범위 7. 오류처리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오류 코드보다 예외를 사용하라(p.130) 오류가 발생하면 예외를 던지는 편이 낫다. 그러면 호출자 코드가 더 깔끔해진다.(p.131) null을 반환하지 마라. null을 반환하는 코드는 일거리를 늘릴 뿐만 아니라 호출자에게 문제를 떠넘긴다.(p138-139)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시간이 지날수록 오류를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게 느껴진다. 안그래도 오늘 기능을 만들면서 오류 처리를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했었는데 글을 읽으며 어느정도 정리가 된 것 같다. 좋은 코드를 작성하고 쉽게 디버깅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깊게 처리해야할 것 같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카테고리 없음 2022.03.04

[노마드코더 북클럽] 클린코드 6. 객체와 자료 구조

오늘 읽은 범위 6. 객체와 자료 구조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시스템을 구현할 때, 새로운 자료 타입을 추가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면 객체가 더 적합하다. 다른 경우로 새로운 동작을 추가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면 자료 구조와 절차적인 코드가 더 적합하다. 우수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편견없이 이 사실을 이해해 직면한 문제에 최적인 해결책을 선택한다.(p.128)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나는 python을 주로 사용하고 Java를 잘 알지 못하다보니 이 파트를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아직 개발을 시작한지 1년이 조금 넘은 주니어라서 자바를 배워보고 싶은 마음도 있는 동시에 파이썬에 집중해야하는 시기 같기도 해서 고민 중이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

TIL 2022.03.01

[노마드코더 북클럽] 클린코드 5. 형식 맞추기

오늘 읽은 범위 5. 형식 맞추기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코드 형식은 중요하다! 너무 중요해서 무시하기 어렵다. 너무나도 중요하므로 융통성 없이 맹목적으로 따르면 안된다, 코드 형식은 의사소통의 일환이다(p.96) 프로그래머라면 각자 선호하는 규칙이 있다. 하지만 팀에 속한다면 자신이 선호해야 할 규칙은 바로 팀 규칙이다(p.113)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Pycharm을 사용하면 코드형식이 맞지 않는 부분을 표시해줘서 그동안 크게 신경쓰지는 않았던 것 같다. 개발자로서 첫 이직을 하고 나서 같은 언어를 쓰더라도 팀마다 다른 규칙이 있다는 것을 실제로 배울 수 있었다. 프로그래머라면 각자 선호하는 규칙이 있지만 팀에 속한다면 팀 규칙을 선호해야한다는 문장이 ..

TIL 2022.03.01

[노마드코더 북클럽] 클린코드 4. 주석

오늘 읽은 범위 4. 주석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잘 달린 주석은 그 어떤 정보보다 유용하다. 경솔하고 근거 없는 주석은 코드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오래되고 조잡한 주석은 거짓과 잘못된 정보를 퍼뜨려 해악을 미친다. (p.68) 진실은 한곳에만 존재한다. 바로 코드다. 코드만이 자기가 하는 일을 진실되게 말한다. 코드만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일한 출처다. 그러므로 우리는 (간혹 필요할지라도) 주석을 가능한 줄이도록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p.68)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나는 클래스나 함수의 기능을 설명하면서 중간중간 주석을 다는 편이라서 '코드로 설명할 수 있다면 주석을 굳이 달 필요가 없다'는 식의 의견이 있으리라고는 잘 생각해보지 못한 것 같..

TIL 2022.02.24